점점 겨울철이 다가오며 피부 관련 고민이 있으신 분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루성 피부염은 겨울철 심해질 수 있는 질환 중 하나에 해당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루성 피부염은 습진의 일종인 질환으로 피지의 분비가 왕성한 부위에 발생합니다. 만성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겨울철 주의가 필요한 지루성 피부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루성 피부염은 지루성 습진이라 불리기도 하며 이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이마나 머리, 겨드랑이 등 피지의 분비가 많은 부위에 발생하는데요. 지루성 피부염은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질환으로 겨울과 같이 피부가 건조해지는 계절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 피부염입니다.
지루성 피부염은 명확한 발생 이유가 밝혀지진 않았으나, 습진성 질환으로 피지샘의 문제 또는 면역 체계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지샘의 분포가 많아지는 부위에 발생하기 때문에 피지가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이론이 존재하는데요. 이외에 온도와 습도도 지루성 피부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낮은 온도, 낮은 습도의 환경에서 지루성 피부염의 증상이 악화되기 때문입니다.
지루성 피부염은 주로 가려움증을 동반합니다. 두피나 눈썹, 눈꺼풀, 겨드랑이, 이마 등 다양한 부위에 각질 형태의 증상을 발생시키는데요. 부위의 공통점은 피지선이 발달되어 있으며 피지가 많은 부위라는 것입니다. 지루성 피부염은 두피에 비듬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고, 눈썹에는 홍반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지루성 피부염은 발생 부위와 형태에 따라 치료 방법이 상이한데요. 지루성피부염의 치료는 국소 스테로이드, 항진균제, 국소 칼시뉴린 억제제 등을 사용하게 됩니다.
지루성 피부염의 경우 확실한 예방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모발이나 피부의 청결을 유지하고, 가려움증이 느껴질 때 초기에 치료하는 것은 지루성 피부염의 악화를 막을 수 있는데요. 얼굴의 경우 유분이 많은 화장품의 사용을 피하고, 두피의 경우 평소 머리 감는 횟수는 1주일에 3회가 적당합니다.
이렇게 지루성 피부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지루성 피부염의 경우 질환의 증세가 단기간에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호전하고 악화하는 것을 반복하기 때문에 악화를 피하기 위해 스트레스와 피로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얼굴 부위에 장기적으로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는 것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제의 처방은 전문 의료진과 상담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나에게 꼭 맞는 탈모약 찾기💊 증상 별, 성분 별 A to Z
겨울철 심해지는 아토피 피부염 가려움증? 보습제 선택과 처방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