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로결석은 보통 여름철 발생하는 질환으로 흔히 알고 있지만, 겨울에도 조심해야 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연말의 과식과 과음은 요로결석 발병을 촉진시킬 수 있는데요. 요로결석은 여성보다 남성의 발병률이 높은 질환입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요로결석의 증상 및 치료법을 유의 깊게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로결석이란 요로계에 요석이 생성되어 소변의 흐름에 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인데요. 이는 요로 감염, 수신증, 신부전 등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질환에 해당합니다. 평생 동안 10명 중 1명은 요로결석을 앓게 됩니다. 남성은 100명 중 6명, 여성은 100명 중 2명꼴로 요로결석을 앓게 되며, 지난해 요로결석 환자의 수는 2017년과 비교해 12%가 증가했습니다.
요로결석의 주된 발병 원인은 수분 섭취의 감소입니다. 수분 섭취의 감소는 요석결정이 소변에 머무르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요석 형성을 촉진시킵니다. 추운 겨울 요로결석을 유의해야 하는 이유도 바로 수분 섭취인데요. 추위로 인해 여름보다 수분 섭취와 운동량이 감소해, 결석 유발 성분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것이 겨울철 요로결석의 원인입니다.
요로결석의 증상으로는 측복부 통증과 빈뇨 등의 방광 자극 증상, 구토나 혈뇨와 같은 배뇨장애 등이 있습니다. 요로결석 초기에는 증상이 심하지 않으나, 시간이 갈수록 통증이 심해질 수 있는데요. 결석이 방광 근처까지 내려오면 방광 자극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남성의 경우 하복부, 고환, 음낭으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여성의 경우 음부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요로결석의 치료법은 대기요법과 체외 충격파쇄석술, 내시경 수술이나 개복수술을 통해 제거하는 치료법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기요법이란 요로결석이 자연 배출될 수 있도록 기다리는 방법입니다. 결석의 크기가 작고 요관의 중관에 위치하였을 때 해당 치료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체외 충격파쇄석술이란 별도의 수술 없이 충격파를 이용해 결석을 잘게 분쇄하는 치료법인데요. 이 또한 자연 배출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치료법입니다. 하지만 체외 충격파쇄석술의 시행 여부는 임신 여부나 기타 질환 유무를 고려하여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개복 수술의 경우 기계와 수술 기법의 발전으로 그 빈도는 감소했는데요. 개복 수술 외의 치료를 시행할 수 없을 경우 개복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요로결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하루 1.5L-2L 이상 수분 섭취를 권장합니다. 염분이 많은 소금, 냉동식품, 생선이나 육류의 캔류 가공식품 등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수산화나트륨이 다량 함유된 시금치, 땅콩, 초콜릿 등의 과도한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또한 귤, 오렌지, 자몽, 레몬처럼 구연산을 함유한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로결석의 경우 결석의 크기 및 특성에 따라 수술을 진행할 수도 있는 질환이며 재발이 가능하기 때문에 요로결석이 발생하기 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로결석을 방치할 경우 신부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요로결석의 증상이 발현되었다면 전문 의료진과 상담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겨울에 관절 조심하세요! 겨울철 관절 질환의 모든 것
말 못할 고통, 겨울에 특히 조심해야 하는 '이곳'!🥶